Writing history through diary 역사를 만드는 일기 - TopicsExpress



          

Writing history through diary 역사를 만드는 일기 NOVEMBER 04, 2013 03:25 “Never be weak or lonely, but always be proud and confident.” This is what Jo Su-mi wrote in the first line of her diary when she went to Italy for study in 1983. Though she has now become a globally renowned vocalist, she still keeps a diary everyday as she has done for the last 30 years. Behind the confident singer applauded for her great performance, there was another Jo Su-mi who talked with herself through the diary whether in joy or in sorrow. Many of the books written by famous writers are based on their diaries. Yealha Ilgi (or Jehol Journal) written in 1780 by Park Ji-won, also known as his literary name Yeonam, after his trip to China is the essence of travel essay and represents the ideology in the late Joseon era. Goethe’s diary written during his two-year travel in Italy from 1786 became the basis of Italian Journey, and Waldon, Henry Thoreau’s best known work, was also based on his diary written while he was living a simple life in natural surroundings. Records of one solitary man sometimes make history. The case in point is ‘A War Diary’ of General Lee Sun-shin, which is registered as UNESCO’s Memory of the World. ‘The Diary of a Young Girl Anne Frank’ is recognized because it testifies people about historical facts that cannot be found in formal documents. Kim Ryeong (1577-1641), a scholar of Joseon Dynasty, kept a diary everyday for 39 years. Recently, the Korean Studies Advancement Center translated his diary into Korean and published it in six volumes. Although he is not as famous as Park Ji-won and Lee Sun-shin, his diary is historically valuable because of its vivid descriptions on not just the major political events, including the coup of 1623, the two Chinese invasions of Korea in the 17th century but also everyday life of classical scholars and ordinary people. Nowadays, people other th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hardly keep a diary. In an era where people do not read much, it may be too much to expect people to write a diary, which requires much more efforts. However, taking notes of everyday ideas or thoughts on PC or smartphone can also be good alternatives for writing a paper diary. Who knows? That diary can become valuable historical records hundreds of years from today. Culture desk reporter Shin Seong-mi (savoring@donga) 역사를 만드는 일기 NOVEMBER 04, 2013 03:25 동아일보 절대 약하거나 외로운 모습을 보이지 않으며 늘 도도하고 자신만만할 것. 1983년 이탈리아 유학길에 오른 스물한 살의 조수미 씨는 일기장 첫머리에 이렇게 적었다. 세계적인 성악가가 된 지금까지도 조 씨는 30년간 하루도 거르지 않고 일기를 써 왔다고 한다. 그토록 자신감 넘치는 무대 뒤에는 기쁜 날이든 슬픈 날이든 일기를 매개로 꾸준히 자신과의 대화를 이어 온 또 다른 조수미가 있었던 셈이다. 세계적인 문인들이 남긴 책의 상당수는 일기가 바탕이다. 1780년 연암 박지원이 청나라에 사신으로 가서 보고 들은 것을 쓴 열하일기는 기행문의 백미이자 조선 후기 사상과 문학을 대표하는 걸작이다. 독일의 문호 괴테가 1786년부터 2년간 이탈리아를 여행하면서 쓴 일기는 이탈리아 기행의 모태가 됐고, 미국의 자연주의 사상가 헨리 데이비드 소로가 자연 속에서 자급자족하며 쓴 일기는 대표작 월든을 낳았다. 한 사람의 고독한 기록은 훗날 역사가 되기도 한다.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된 충무공 이순신의 난중일기가 대표적이다. 유대인 소녀 안네 프랑크의 일기는 공식 문헌에서는 찾기 어려운 민중의 미시사라는 점에서 가치가 크다. 조선시대 영남 사림이던 계암 김령(15771641)은 죽기 전까지 39년간 꼬박꼬박 일기를 썼다. 최근 한국국학진흥원이 그의 일기 계암일록을 우리말로 처음 번역해 6권짜리 책으로 출간했다. 연암이나 충무공만큼 유명인은 아니지만 계암의 일기에는 인조반정, 정묘호란, 병자호란 같은 굵직한 사건과 정치적 소용돌이, 선비의 일상사, 고통받는 백성의 삶이 생생하게 기록돼 있어 사료적 가치가 크다. 요즘엔 초등학생을 제외하곤 일기 쓰는 사람을 찾기 힘들다. 책 읽는 사람도 줄어드는 마당에 읽기보다 훨씬 공을 들여야 하는 일기를 기대하는 것은 무리일까. 꼭 종이로 된 일기장이 아니라도 PC로든 스마트폰으로든 매일의 단상은 기록할 수 있을 것이다. 혹시 아는가. 그 일기가 차곡차곡 쌓여 수백 년 뒤 귀중한 역사적 자료가 될지. 신 성 미 문화부 기자 savoring@donga
Posted on: Mon, 11 Nov 2013 23:07:00 +0000

Trending Topics



Recently Viewed Topics




©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