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금과 화이트골드의 차이점] 귀금속 사실 때 - TopicsExpress



          

[백금과 화이트골드의 차이점] 귀금속 사실 때 화이트골드라고 표기되어 있는 것들 많이 보셨을 거예요. 화이트골드가 번역하면 백금이니, 많은 분들이 백금과 화이트골드를 혼동하시는데, 결론부터 말하면 이 두가지는 (적어도 귀금속계의 용어로는) 전혀 다른 금속입니다. * 백금 = 원소기호 pt 우리가 플라티늄 이라고 부르는 금속 입니다. 이게 백금 입니다. 백색광택을 가진 금속이죠. 변색이 없고 합금 및 연마가 너무나 까다로우며, 그 희소성 탓에 매우 고가의 금속 입니다. 전도율이 높고 촉매로서의 효율이 높아서 화학, 공학에서나 귀하게 쓰였다고 합니다만, 변색이 없고 희소한 성질 때문에 명품 보석 브랜드인 까르띠에나 티파니에서 영원, 순수 등을 상징하는 고가의 예물라인에 사용하기 시작했다고 해요. 그래서 이 플라티늄으로 만들어진 패물은 주로, 대대손손 물려준다거나 되팔 일이 없는 예물로서 상징적인 의미를 담아 마련하게 되는 거죠. 합금이나 연마가 까다로운 까닭에 금속 자체에 공임이 높아서 되팔 때는 샀을 때의 가격에 비해 제대로 값을 쳐 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백금 패물은 안쪽에 pt990, pt900 …등의 표시가 있습니다. (사실… 저는 이 플라티늄을 애초에 왜 백금이라고 이름붙였는지 정말 미스테리합니다) * 화이트골드 = 금(원소기호 au)을 다른 금속들과 합금한 것 황금이라고 알고있는 금 gold (원소기호 au)에 다른 금속들을 합금하여 백색을 띄도록 만든 "금" 입니다. 골드!!! 옐로우 골드 14k, 18k 처럼, 이 화이트골드도 기본 순금의 비율에 따라 14k, 18k등으로 구별되구요. (14k = 순금비율 58.5% / 18k = 순금비율 75% ) 화이트 골드는 흰색을 띄게 하기 위해서 합금 금속 중 은 silver (원소기호 ag)을 넣게 되는데, 그렇게 합금을 한다고 해도 완전한 백색은 되지 않겠죠. 노란색에 흰색 섞으면 옅어지긴 해도 완전히 하얗게 되지 않는 것 처럼요. 그래서, 화이트골드 제품은 백색광택의 "도금"을 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이때 사용되는 것이 로듐(원소기호 rh)인데, 이 로듐이 백금계열(위에서 말한 플라티늄의 친척뻘) 이기 때문에 "백금도금"이라고 부릅니다. 그래서 화이트 제품은 오랜기간 착용하면 백금도금이 닳아지면서 본래의 화이트골드빛이 나오게 됩니다. 이때는 구입하신 가게에 가셔서 다시 도금 해 달라고 하면 해 줍니다. 도금 비용은… 그 가게 영업방침에 따라 다릅니다. 이렇게, 화이트골드는 그냥 금, gold 이기 때문에 되팔 때도 무게에 따라 시세를 쳐 받을 수 있지요. 아 물론 공임비나 물린 보석시세 등등은 논외로 칩니다. 순수 금 무게만 따지는 거고, 매입 매매 … 그것도 일단 논외로 합니다. *결론1. 백금과 화이트골드는 완전 다른 금속입니다. *결론2. 지금 반지 안쪽의 각인을 보세용. Pt어쩌구면 플라티늄이고, 14k(585) 혹은 18k(750) 라고 되어 있으면 하얗게 색을 입힌 금gold 화이트골드입니다. *결론3. 귀금속 구입하실 때 반드시 백금인가요 화이트골드인가요 를 꼭 물어보시고 확실하게 답변 받으세요. 혼동이 좀 정리 되셨는지 모르겠습니다. 금제품 구입하실 때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어요~
Posted on: Wed, 24 Jul 2013 13:24:20 +0000

Recently Viewed Topics




©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