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라프 트베이트.. 이분은 마치 부처님만큼이나 - TopicsExpress



          

울라프 트베이트.. 이분은 마치 부처님만큼이나 큰 심장을 가지신 엄청난 분이시다. 이분처럼.. 나도 모두를 포용할 수 있어야 할텐데.. 하지만 나는.... 마음이 너무 비좁다. 내겐 하나님께서 허락하신 수많은 모양의 친구가 있지만서도 진리에 있어서는 나도 배타적이다.. 그리스도 예수가 십자가에 못박히지 않았다고 말하는 무슬림 친구에게 그래, 나는 너의 믿음도 받아들여.라고 말할만한 큰 심장이 없다.. 아니야. 오직 예수야. 관계가 껄끄러워질 수도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것만이 내게 진리다. 평생에 목숨을 내걸면서 지키고 싶은 진리. 너무나 짧은 영어실력으로.. 나이트 출근 전 트베이트의 자극적인 제목으로 쓰여진 글이 있어 번역해 보았다.... 아무래도.. 그동안 놓아버렸던 영어 공부의 필요성을 다시금 느낀다. 무엇보다 글을 읽다가 난독증이 생길 것 같다.. 영어든..한국어든......... P.S. I am against his Pagan reflection. ---------------------------------------------------------------------------- Bible study: Christ alone? 성경 공부: 오직 그리스도? 16 May 2010 A Contribution to a Muslim-Christian Dialogue on Matthew 25: 31-46 마태복음 25장 31~46절로 살펴보는 무슬림과 크리스찬의 대화를 향한 협력 Presented at the Ecumenical Kirchentag, Munich by the Rev. Dr Olav Fykse Tveit, general secretary of the World Council of Churches 올라프 픽세 트베이트, 세계교회협의회의 총무 It is a great privilege for me to participate in a joint reflection on this biblical text. It is a text of powerful images and expressions which can speak to all humanity. However, as a Lutheran theologian here in Germany today representing an organization which works for that which unites the Christian churches, I am drawn to use the following title for my reflection: Christ alone. 이 성경적인 본문에 대한 나의 생각을 나타내는 것에 참여한다는 것은 나에게 큰 특권이다. 이 본문은 모든 인류에게 적용되는 강한 표현과 이미지의 본문이다. 하지만 크리스찬 교회들의 일치를 위해 일하는 한 단체의 총대이자 이곳 독일 루터교 신학자로서, 나는 나의 글에 다음의 제목을 쓰고싶다. : 오직 그리스도. “Christ alone” was one of the principles for the interpretation of the Bible – and therefore a theological basis - formulated by the great German reformer of the Christian Church, Martin Luther. It was one of his series of punch lines: Faith alone - grace alone – scripture alone – Christ alone. “오직 그리스도”는 성경을 이해하는데 있어 여러 원칙들 중 하나이다. 그러므로 그것은 크리스찬 교회의 엄청난 개혁자 마틴 루터에 의해 형성된 하나의 신학적인 기초가 된다. 그것은 그의 핵심적인 대목 시리즈들 중 하나이다.: 오직 믿음, 오직 은혜, 오직 말씀, 오직 그리스도. I think our common reading today is compatible with Luther’s understanding and use of the Bible in at least two ways. Firstly, Luther helped the Church to find the way back to its roots in biblical texts as the authority for all basic questions of the faith of the church. The reverence shown to the text by our Muslim brother revitalizes Christian respect for this text. Holy texts, particularly the Gospels in the Bible, are written to be heard in a fellowship, they are words to be listened to together. This is not primarily a text to be studied by us as individuals. 내 생각엔 오늘날 우리의 주된 읽기가 루터의 이해와 성경의 사용에 있어서 적어도 두가지 면에서 비슷한 것 같다. 첫째, 루터는 교회의 믿음에 관한 모든 기본적인 질문들에 대한 권위로서의 성경적인 본문들을 통해 교회가 그 뿌리로 돌아가게끔 도와주었다. 우리 무슬림 형제들이 이 본문을 향해 갖고있는 존경은 크리스찬도 이 본문을 존경하게끔 다시금 활력을 준다. 거룩한 본문, 특별히 성경속의 복음은 유대감 안에서 다함께 듣기 위해 쓰여진 말씀이다. 이것은 단지 우리 개개인들만 공부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Secondly, Luther translated the Bible into his mother tongue. This translation and the corresponding printing and distribution of the Bible were significant for the church – as well as for the German language. It made the Bible an open book, open for anybody to own, to read and to understand. Christian churches and the ecumenical movement between those churches have benefited from these perspectives. As we listen to it together as the word of God, the Bible is our common authority. And, as a book in our mother tongue, it is an open book where different interpretations in different contexts are welcome, relevant and even necessary. 두번째로, 루터는 그의 모국어로 성경을 번역했다. 이 번역과 그에 상응하는 성경책의 인쇄와 배부는 독일어 만큼이나 교회에게 굉장히 중요했다. 그것은 성경을 누구나 소유할 수 있고, 누구나 읽고 이해할 수 있도록 하나의 열린 책으로 만들었다. 이 교회들 사이의 크리스찬 교회들과 에큐메니컬 운동 이러한 관점들로부터 도움을 받았다. 우리가 하나님의 말씀을 함께 들음으로, 성경은 우리의 공통된 권위가 된다. 그리고 우리의 모국어로 쓰여진 책으로써, 다른 맥락에서의 다른 해석들이 환영받고, 그러한 해석들이 의미가 있으며 심지어 필수적인 열려있는 책이다. Even if it could be heard as a rather exclusive approach, or seen as not very ecumenical or open for dialogue and complementary reflections, I still think Christ alone is a very appropriate perspective for an open and joint reading and conversation about this text from the Gospel of Matthew. Christ alone is the judge. Christ shows that God in Christ identifies with human beings, expressing in this way God’s compassion with all, particularly those who suffer. Thus, the main question in the text is, quite paradoxically: Do we leave Christ alone? 비록 이것이 오히려 배타적인 접근으로 들리고 에큐메니컬 스럽지 않고 열린 대화같지도 않으며 상호보완된 생각같지 않아보여도, 나는 여전히 이 마태복음의 본문에 대해 “오직 그리스도”가 열려있고 연결하는 읽기와 대화를 위한 굉장히 적절한 관점이라고 생각한다. 그리스도만이 심판자이시다. 그리스도는 하나님께서 그리스도를 통해 인간과 동등해지신 것을 나타낸다. 이것을 통해 모두를 향한 하나님의 긍휼하심(특별히 고통당하는 자를 위해)을 나타내신다. 그러므로 본문의 주된 질문은 상당히 역설적이게도: 우리는 그리스도를 홀로 냅두는가? When we define a text as having authority, we have to be very aware of how we use the text and be accountable for the consequences of how we use such a text in different contexts. To become more fully aware of that, it is for the most part helpful and sometimes actually very necessary to listen to other voices interpreting the same text. And this leads us to the core issue of the text: the surprising judgment. 우리가 본문을 권위를 가진 것으로 정의할 때, 우리가 어떻게 본문을 사용할지 그리고 우리가 이러한 본문을 다른 맥락에서 사용했을 때 나타나는 결과들에 대한 책임 있다는 것을 아주 중요하게 깨달아야만 한다. 그것을 더 확실히 깨닫기 위해, 때로는 같은 본문을 다르게 해석하는 말들에도 귀 기울이는 것이 대부분 도움이 되고 굉장히 필수적이다. 그리고 이것은 우리를 본문의 가장 중요한 문제로 이끈다: 놀라운 심판. The surprise in the text is not really the idea that there will be a judgment of human life and behaviour. This was, after all, a central motif of the Old Testament prophets and also present in the contemporary religious ideas of the time of Jesus. The judgment is described here as a judgment of all nations – in the sense that everybody, all people are included, whatever background we might have (32). But there is not a separation between us as peoples, no judgment of us as nations. The judgment is personal, and there really is nothing in the text that can be used for nationalistic or racial or exclusive purposes. Rather to the contrary. 본문의 놀라운 점은 인간의 삶과 행동에 대해 심판이 있을 거라는 점이 아니다. 그건 결국 구약 예언자들의 중심 주제였고 또한 현재 예수님 시대의 당대 종교적인 생각을 나타낸다. 이 본문에서의 심판은 모든 나라를 향한 심판으로 묘사되어 있다. “모두”라는 의미는, 우리가 어떤 배경을 갖고있든 모든 사람이 포함된다. 하지만 본문에는 우리 사이에 “사람들” 로의 분리가 없고, 우리를 “나라들”로 심판하는 것도 없다. 그 심판은 개인적이다. 그리고 민족주의적이거나 인종적인 또는 배타적인 목적에 사용될 만한 어떠한 것도 없다. 오히려 그 반대다. In our time, particularly in a Western European liberal context, it could sound moralistic, exclusive or even triumphalistic to talk about a final, divine judgment, as if I regard myself or my group or my God to be in the position of being the judge of others. This is, however, not the dominant understanding of life in many other cultures and contexts in the world. All over the world the idea of there being a judgment is not questioned. In the end I find it even more triumphalistic and excluding to refuse the perspective of a final judgment. That would mean that I myself am the highest authority to judge my own life. 우리 시대에, 특별히 서구 유럽인들의 자유민주적인 맥락에서 마지막의 하나님의 심판에 대해 이야기 하는 것은 도덕주의자처럼, 배타적이거나 심지어 승리주의자 스럽게 들릴 수 있다. 마치 내 자신이, 또는 나의 집단이 또는 나의 하나님이 다른 이들의 심판자 자리에 앉힌 것 마냥. 하지만 이것은 다른 문화들과 세상의 맥락으로 보았을 때 삶의 지배적인 해석은 아니다. 전 세계적으로, 심판이 있을 거라는 생각에는 의문이 제기되지 않는다. 결국 나는 최후 심판의 관점을 거절하는 것이 더 승리주의자 스럽고 배타적인 것으로 본다. 그 의미인 즉슨, ‘내 삶을 심판하는 최고의 권위는 내 자신이다‘라는 뜻이다. The purpose of a text like this is sometimes misunderstood in the Christian traditions and perhaps in other religious traditions as well. In itself this text does seem to address such misunderstandings. It is not a text that has within its scope the nurturing of speculations about scenarios for the future, or primarily to answer questions about the fate of this or that human being in terms of them belonging to a particular group – not even as part of a faith group. In biblical texts the perspective of final or eschatological dimensions is almost always a way to express critical, sometimes surprising, perspectives on our life here and now. This helps us to answer questions of how to live in the here and now through the strong perspective of a future judgment. However, there is also another, more secular way commonly used to express this, which is not so very different, when we say, the judgment of history will be….. 이 본문의 목적은 크리스찬 전통에서, 그리고 아마 다른 종교적인 전통에서도 때로 오해를 받았다. 이 본문 자체에서 그러한 오해들에 대해 말하고 있다. 이 본문은 미래에 대한 시나리오의 추측을 더 키우거나, 한 특정 집단(심지어 한 믿음 집단의 부분 이더라도)에 속하는 것에 관한 인간의 이렇다 저렇다 할 운명에 대한 질문에 대답을 하게끔 기회를 주는 본문이 아니다. 성경적인 본문 속에서 말세에 대한 관점 또는 종말론의 시각들은 지금 우리의 삶에 있어서 대개 항상 비판적이고, 때로는 놀라운 관점을 나타내는 한 방법이다. 이것은 미래의 있을 한 심판에 대한 강력한 관점을 통해 우리가 현세를 어떻게 살아야 할지에 대한 질문에 답하도록 도와준다. 하지만 또 다른, 이것들을 나타내는데 흔하게 쓰였던 더 세속적인 방법이 있다. 그렇게 아주 다르지는 않지만.. 우리가 “역사의 심판은 이렇게 될 것이다...”라고 말할 때. One surprise in the text is that the basis for judgment is not a long moral or religious list of rules; nor is it an exhaustive list of what is mandated by the more specific laws. Rather the text spells out in a repeated description (35-39 and 42-44) the most basic needs of human beings, particularly when for reasons against their own will they are excluded from the fellowship. A glass of water, food, a visit, attention in detention (prisons were for detentions, not for those who where judged already). 이 본문의 놀라운 점은 심판의 기초가 긴 도덕적인 또는 종교적인 규칙들의 목록이 아니라는 것이다: 또한 더 많은 특별한 법들로 지시된 철저한 목록도 아니다. 오히려 본문은 가장 기본적인 인간의 필요, 특히 그들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유대 관계로부터 제외었을 때의 필요를 거듭 상세히 설명하고 있다. (35~39절, 42~44절) 물 한컵, 음식, 방문, 구금되었을 때의 보이는 관심.(감옥은 이미 재판받은 사람들을 위해서가 아닌 구금을 목적으로 있었다.) We could make our own additions to the list of the needs of those around us. Do you see Christ in the Muslim women next door, who represents a minority not everybody accepts in this country? Do you see Christ in the Christian old man fearful of attacks from extremists when he gathers to worship with his Christian sisters and brothers in a Muslim country? It is neither philosophical nor typically religious action that is required and called for, but rather spontaneous attention to the basic need of another human being. 우리는 우리 주변의 필요의 목록을 더 만들 수 있다. 당신은 이 나라에서 모두가 받아들이지 않는 소수자를 나타내는 옆집의 무슬림 여성 안에 계신 그리스도를 볼 수 있는가? 당신은 무슬림 국가에서 크리스찬 자매들과 형제들과 예배드리기 위해 모일 때 극단주의자들로부터 받을 공격을 두려워하는 한 나이든 크리스찬 남성안에 계신 그리스도를 볼 수 있는가? 우리에게 요구되는 것은 철학적이거나 일반적인 종교적 행위가 아닌 오히려 다른 인간들의 기본 필요에 대한 자발적인 관심이다. This approach corresponds to the prophetic critique of religious practices that can be found in the books of the prophets Micah (6: 6-8) and Isaiah (58:5-10). It is summarized in the Gospel of Matthew as the natural spontaneous actions of the children of the heavenly Father (5:43-48), and who thus correspond to the greatest commandment: To love God and to love your neighbour as yourself. 이러한 접근은 미가서(6장 6~8절)와 이사야서(58장 5~10절)에 나타난 종교적 행위에 대한 선지자들의 비판과 일치한다. 이것은 마태복음에 하늘 아버지의 자녀들의 자연스럽고 자발적인 행위로(5장 43~48절), 그러므로 가장 위대한 계명에 합하는 자들로 요약되어 있다.: 하나님을 사랑하고 네 이웃을 네 자신과 같이 사랑하라. The criterion is to live as Jesus Christ did. Sometimes even against some religious rules – for the sake of humanity. Christ alone is a criterion for the real life of a human being created in God’s image. This commandment to love God and its focus on my neighbour’s need is also in the common word that 138 Muslim scholars pointed to as the common ground of the peoples of the Muslim, Jewish and Christian traditions, just a few years ago. 기준은 예수 그리스도가 했던 것처럼 사는 것이다. 때로는 심지어 몇몇 종교적인 규칙에 반대하며 - 인류를 위해서. 오직 그리스도는 하나님의 형상으로 만들어진 인간의 참 생명을 위한 기준이다. 하나님을 사랑하라는 이 계명과 내 이웃의 필요에 대한 관심은 몇 년 전 138명의 무슬림 학자들이 무슬림들의 공통되는 기반과 유대인과 크리스찬 전통들의 공통분모로 지적한 바 있다. The real surprise in the text is that the judge identifies himself with any human being who is in need of another human being’s attention and care. Christ as the representative of God as judge is the alternative to us being our own judges, to making our own rules for judgment, either for ourselves or for our group of people. But it is more than that: Christ makes us able to see that the main question in any moral judgment about how we live or should live is the identification of the need of the human beings next to us. The question is not: How shall I be good enough? But, how can I do what my neighbour needs? To see Christ in our fellow human being is the deepest way to see what we should do. Therefore, Christ alone is the way to get out of our self-centred approach or our moralism, and liberate us from our many versions of me alone or us alone as the focal point. The focus on how God identifies with every human being through these words of Christ, is a liberating perspective. It liberates me to see all human beings in the same way, as fellow human beings in need of me. 이 본문의 정말 놀라운 점은 심판자가 다른 사람들의 관심과 돌봄을 필요로 하는 그 여느 인간과 같이 그 자신을 동일시 한다는 것이다. 하나님의 대리자로서 심판자로서 그리스도가 우리의 자신들의 심판의 대안이 되시며, 우리 자신들의 심판을 위한 규칙들을 만들기 위한 대안이다. 우리 자신들이든 우리 집단들이든 간에. 하지만 그것보다 더한 무언가가 있다: 그리스도는 우리가 어떻게 살아가야 하고 어떻게 살아야만 하는지에 대한 어떤 도덕판단의 주요 질문은 우리 옆에 있는 인간들의 필요를 인식하는 것임을 볼 수 있게 한다. 질문은 이게 아니다: 내가 어떻게 선해질 수 있지? 하지만, 내가 이웃이 필요로 하는 것을 어떻게 할 수 있지? 주변 사람들 속에서 그리스도를 보는 것이 우리가 무엇을 해야 하는지에 대해 아는 가장 깊은 길이다. 그러므로, “오직 그리스도”가 자기중심적인 접근이나 우리의 교훈주의에서 나올 수 있는 길이다. 그리고 초점을 “오직 나” 또는 “오직 우리”라는 다양한 버전들로부터 우리를 자유케 한다. 어떻게 하나님께서 이 그리스도의 말씀을 통해 모든 인간들을 인정하시는 것에 대한 초점은 자유케하는 관점이다. 이것은 모든 인간을 같은 방법으로, 나를 필요로 하는 동료 인간으로 보게끔 나를 자유케한다. The surprise in the text is that Christ was alone … and nobody recognized it. However, some did recognize what they should do and some did not. The text makes a very insistent call to not leave Christ alone. We are created for fellowship with one another as human beings. 이 본문의 놀라운 점은 그리스도는 혼자였다.... 그리고 누구도 그것을 인식하지 못하였다. 하지만 누군가는 알아보았고 누군가는 알아보지 못했다. 이 본문은 그리스도를 홀로 냅두지 말라고 지속적으로 요구한다. 우리는 인간으로서 서로 유대하도록 만들어졌다. I find this is such a paradoxical text about Christ: Christ alone as the judge and the criterion for our human lives, and yet this same Christ is himself left alone. It is a message first of all of a compassionate Christ. Christ is coming to me through my fellow human beings who are in need of my compassion, whoever they are, Muslim or Christian or Jewish or Hindu or Buddhist, or whatever group they might belong to. But Christ is also the one who calls me to do what is right and just, showing real compassion to all. This also implies a protest against the injustice of somebody being isolated or not given access to care for their basic needs. 나는 이 본문이 그리스도에 대한 역설적인 본문인 것을 알았다: 심판자 그리고 우리 인간 삶의 기준으로서 오직 그리스도, 하지만 이 같은 그리스도는 홀로 남겨졌다. 이것은 무엇보다도 긍휼하신 그리스도의 메시지이다. 그리스도는 나의 긍휼함이 필요한 다른 동료 사람들을 통해 나에게 오신다. 그들이 무슬림이든 크리스찬이든 유대인이든 힌두교인이든 불교인이든 또는 어떤 집단에 그들이 속했을 지라도. 하지만 그리스도는 또한 나에게 모두에게 진짜 긍휼을 보임으로 옳고 공의로운 것을 행하라고 부르신다. 이것은 누군가 고립되고 있거나 또는 그들의 기본 욕구를 돌아볼 수 없는 것에 대한 불의와 맞서는 항의도 포함된다. This compassionate God asks me to be compassionate, because first of all God is compassionate. This is the ultimate meaning Luther conveys in his use of the saying Christ alone. Christ is not only the just judge but also the life giver. By God’s gracious compassion shown to human beings ultimately in the life, death and resurrection of Jesus Christ can we live and stand before the judgement. 이 긍휼하신 하나님은 내게 긍휼해지길 원하신다. 왜냐하면 무엇보다 하나님이 긍휼하시기 때문이다. 이것이 루터가 “오직 그리스도”라는 말을 사용하여 전하고자 했던 궁극적인 의미다. 그리스도는 단지 심판자일 뿐 아니라 생명을 주는 자다. 궁극적인 생명, 죽음 그리고 그리스도 예수의 부활 안에서 인류에게 나타내신 하나님의 은혜로운 긍휼로, 우리는 살 수 있고 심판 앞에 설 수 있다. By God’s compassion we can also through a text like this be reminded again of our common call as human beings and find a way to live according to God’s will in this land, in this continent and in all places of the world. We are people of different faiths but all of us are created in the image of God. 하나님의 긍휼하심으로 이러한 본문들을 통해 다시금 인간으로서의 우리의 공통된 부르심을 상기시킬 수 있고, 이 땅에 그리고 이 대륙에 그리고 온 세상에서 하나님의 뜻을 따라 살아가는 법을 찾을 수 있다. 우리는 다른 믿음의 사람들이다. 하지만 우리 모두는 하나님의 형상으로 지음받았다. As a Christian I believe that this is an image presented to us in Jesus Christ. Moreover, I meet Jesus Christ in all people in need of me, whoever, whatever and wherever they are. I meet you as women or men, as Muslims or Christians, as people of whatever faith you may or may not have. 크리스찬으로서 나는 이것이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나타난 형상이라고 믿는다. 더욱이, 나는 나를 필요로 하는 모든 사람들 안에서 예수 그리스도를 만난다. 누구든지, 무엇이든지 또는 그들이 어디에 있든지. 나는 당신을 만난다. 여자 또는 남자로, 무슬림으로 또는 크리스찬으로, 당신이 어떤 믿음을 갖고 있건 갖고 있지 않건.
Posted on: Mon, 11 Nov 2013 10:43:48 +0000

Trending Topics




© 2015